- 하나의 공인 IP와 여러 개의 사설 IP를 Port 번호를 이용해 NAT를 수행한다.
- 1:N 방식
위 그림처럼 여러 대의 내부망 PC가 라우터를 통해 웹 서버에 접근할 때
NAT Table에 포트 번호를 이용해 어떤 PC에서 요청이 들어왔는지 구분할 수 있도록 기록을 해두는 것이다.
PAT은 NAT 장비가 사용자로부터 패킷을 전달받아 NAT를 실시할 때,
출발지 포트를 임의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.
'K-Shield > J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-Shield][Jr] 웹의 동작 방식 (0) | 2025.04.27 |
---|---|
[K-Shield][Jr] VPN( Virtual Private Network ) (0) | 2025.04.27 |
[K-Shield][Jr] NAT (0) | 2025.04.27 |
[K-Shield][Jr] DMZ (0) | 2025.04.27 |
[K-Shield][Jr] 7계층 : 응용 계층( Application Layer ) (0) | 2025.04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