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협이란, 정보 자산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행위나 사건을 말한다.

 

  • 자연 재해, 기술적 실패, 공격으로 부터 발생한다.
  • 취약점은 시스템, 소프트웨어, 프로토콜, 또는 절차상의 약점이나 결함을 의미한다.
    • 취약점은 위협이 실제로 활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위협은 이러한 취약점을 이용하여 발생한다.
    • 즉, 위협이 실제로 행해질 수 있는 시스템의 약점을 의미하게 된다.

📌 의도에 따른 위협 분류

📑 의도적 위협( Intentional Threats )

  • 인간의 의도에 의해 발생하는 위협
  • 해킹, 사이버 스파이, 사회 공학, 악성코드 배포 등

📑 비의도적 위협( Unintentional Threats )

  •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, 시스템의 오류 등으로 발생하는 위협
  • 잘못된 클릭, 안전하지 않은 비밀번호, 시스템 설정 실수 등

 

📌 발생 원인에 따른 위협 분류

📑 외부 위협( External Threats )

  • 조직이나 시스템 외부에서 발생하는 위협
  • 해커, 사이버 범죄 조직, 경쟁 회사 등 외부 인물이나 그룹

📑 내부 위협( Internal Threats )

  •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위협
  • 직원의 고의적인 행위나 실수로 인해 발생
  • 종종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발생

 

📌 공격 유형 따른 위협 분류

📑 활동적 위협( Active Threats )

  • 시스템을 공격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한다.
  • 랜섬웨어, DDoS 공격 등

📑 수동적 위협( Passive Threats )

  • 시스템에 직접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고 정보를 수집하는 위협을 말한다.
  • 트래픽 분석, 스니핑, 스캐닝 등

📑 누설( Disclosure )

  • 민감한 데이터가 무단으로 공개되거나 유출되는 상황을 말한다
  • 기밀성을 침해하는 행위
  • 개인 정보, 기업 비밀, 국가 비밀 등의 민감한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어 개인이나 조직에 해를 끼칠 수 있다.\

📑 속임수( Deception )

  • 거짓 정보를 제공하거나, 사용자를 속여 정보를 탈취하는 행위다
  • 무결성( I, Integrity )를 침해하는 행위다
  • 피싱( Phishing), 스푸핑( Spoofing) 등이 해당 된다.

📑 중단( Disruption )

  •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거나 중단 시키는 행위다
  • 가용성( A, Availability )을 침해하는 행위다.
  • DoS, DDoS의 공격 등이 해당된다.

📑 강탈, 탈취( Usurpation )

  • 시스템의 기능을 무단으로 제어하거나 변경하여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행위다
  • 시스템 장악, 악성 코드 실행, 시스템 구성을 변경하여 추가적인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.

📑 침입( Intrusion )

  • 무단으로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행위다.
  • 기밀성( C, Confidentiality )과 무결성( I, Integrity )을 침해하는 행위다.
  •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.

📑 악용( Exploitation )

  • 공격자가 취약점을 발견하고 악용하는 행위다.
  • 데이터 손상, 시스템의 제어권 탈취, 악성 코드 설치 등 다양한 보안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.

📑 추출( Extraction )

  • 데이터를 무단으로 복사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행위다.
  • 프라이버시 침해, 기업의 비밀 유출, 국가 안보 위협 등을 발생 시킬 수 있다.

'K-Shield > J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K-Shield][Jr] 캡슐화 & 역캡슐화  (0) 2025.04.25
[K-Shield][Jr] 네트워크 계층과 프로토콜  (0) 2025.04.25
[K-Shield][Jr] 네트워크  (0) 2025.04.25
[K-Shield][Jr] 공격 유형  (0) 2025.04.24
[K-Shield][Jr] 정보 보안  (0) 2025.04.24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