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호출자( Caller )
함수를 호출하는 대상을 말한다.
📌 피호출자( Callee )
함수에게 호출당하는 대상을 말한다.
모든 호출자와 피호출자는 호출자이면서 피호출자일 수 있다.
또한 호출자는 호출자와 피호출자로 묶인 관계까지만 생각하고, 피호출자가 호출자인지는 생각하지 않는다.
호출자는 피호출자를 호출하면,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.
결과값은 피호출자 함수의 연산 결과이거나 피호출자 함수의 연산이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결과일 수 있다.
반면, void는 반환받는 결과값이 없는 반환형이다.
호출자가 void를 반환형으로 하는 피호출자를 호출하는 것은 피호출자에서 제어의 흐름이 가고 코드 연산이 이루어 진 후
흐름이 되돌아오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. 즉, 피호출자 함수가 잘 작동 했는지 못했는지, 아니면 연산 결과를 회수 받기 위한 의도가 전혀 없다는 것을 말한다. 호출에 의해 흐름이 넘어갔다 돌아왔다라는 것만 생각하겠다는 의미
호출, 피호출 관계에 있어서 한번 더 생각해야하는 점은 둘의 관계가 모듈이 분리가 되어있는지 생각해봐야하고,
경우에 따라서 호출, 피호출이 쓰레드가 바뀌어 버릴수도 있는지도 생각을 해야한다.
'강의 정리 > 인프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인프런] 매개변수 전달 기법 (0) | 2025.03.11 |
---|---|
[인프런] Stack overflow ( 스택 오버플로우 ) (0) | 2025.03.10 |
[인프런] 동적 라이브러리 개발 (0) | 2025.03.10 |
[인프런] 정적, 동적 라이브러리 (0) | 2025.03.10 |
[인프런] 1bit와 2수 ( = 디지털 ) (0) | 2025.0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