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시스템 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계층
- 전기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들을 전송 매체로 이용해 전달하는 계층
- 컴퓨터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정의한다.
- 전기가 흐르면 ON( 1 ), 전기가 흐르지 않으면 OFF( 0 )
🤔 데이터를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로 변환하고 그대로 전송해도 될까?
- 비트열은 0과 1의 집합이므로 전기 신호로 변환이 필요하다.
- 랜 카드( NIC,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)가 위 역할을 한다.
- 물리 계층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전기 신호를 만드는 과정을 변조( Modulation )라고 한다.
-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이 읽을 수 있는 디티절 신호를 만드는 과정을 복조( Demodulation )라고 한다.
일상에서 사람들끼리 대화를 할 때 공기라는 매체가 필요하고, 편지를 보낼 때 우체부라는 매체가 필요하다.
통신을 하기 위해서도 당연히 수신자와 송신자 사이에 매체가 필요하다.
📌 물리 계층의 전송 매체
📝 유선
- 광케이블
-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( =랜 케이블 )
- 카테고리 5 케이블 ( UTP 케이블 )
- 동축 케이블
📝 무선
- 라디오파
- 마이크로파
- 적외선
📌 물리 계층의 장비
📝 리피터( Repeater )
- 전송 과정 중 약해진 신호를 다시 정상화 시키는 장비다.
- 현재는 다른 장비들에서 리피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제는 따로 사용되지 않는다.
📝 더미 허브( Dummy Hub ) = 멀티 포트 리피터
-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고, 여러 대의 컴퓨터 끼리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다.
- 신호를 증폭 시켜주는 리피터의 역할을 한다.
- 들어오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특정 대상을 지정할 수 없어 연결되어 있는 모든 포트에 브로드 캐스트 패킷을 전달한다.
💡 더미 허브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특정 대상을 지정할 수 없는 이유
- 더미 허브의 다른 이름은 멀티 포트 리피터로 포트를 여러 개 가진 리피터 라는 뜻이다.
- 더미 허브는 전기 신호를 증폭 시키고 전달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
- 모듈레이션과 디모듈레이션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읽을 수 없어 대상을 알 수 없다.
- 위와 같은 이유로 모든 포트로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 뿌리게 되고, 대상을 특정하여 보낼 수 없게 된다.
'K-Shield > J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-Shield][Jr] 3계층 : 네트워크 패킷 확인 (0) | 2025.04.27 |
---|---|
[K-Shield][Jr] 2계층 - 데이터 링크( Data Link ) (0) | 2025.04.25 |
[K-Shield][Jr] 캡슐화 & 역캡슐화 (0) | 2025.04.25 |
[K-Shield][Jr] 네트워크 계층과 프로토콜 (0) | 2025.04.25 |
[K-Shield][Jr] 네트워크 (0) | 2025.04.25 |